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정보

공급면적과 계약면적 완벽 정리~!! 부동산 계약 전, 꼭 알아야 할 차이점..

by 생생부동산정보통 2025. 5. 13.
반응형

매매 또는 전.월세 계약 시, 가장 헷갈리는 개념 중 하나가 공급면적, 계약면적입니다.
이 중에서 공급면적과 계약면적은 법적으로 명확하게 구분되어 있고,
실제 거래에서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정확히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공급면적이란

공급면적(공급면적=전용면적+공유면적)은 아파트 또는 오피스텔 등 분양 시, 분양면적으로 흔히
사용됩니다. 전용면적은 내가 실제로 사용하는 방, 거실, 주방, 욕실 등 실내 공간의 면적이며,
공유면적은 계단, 복도, 엘리베이터 등 입주민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면적입니다. 이 면적은 전용면적과
구분되지만, 공급면적에 포함되어 분양가 계산의 기준이 되며, 공급면적은 흔히 분양 34평처럼 광고에
쓰이는 단위지만, 실제 거주 공간이 아닌 복도 또는 계단 등도 일부 포함되어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전용면적 84.96㎡+공유면적: 28.32㎡=공급면적 113.28㎡

 

분양면적과 전용면적 차이, 아파트 선택 전 꼭 알아야 할 핵심 개념 정리..

"분양면적과 전용면적은 아파트 또는 오피스텔을 매수 또는 임차할 때, 가격, 면적, 구조를 파악하는 ...

blog.naver.com

계약면적이란

계약면적은 공급면적보다 더 넓은 개념으로, 보통 아래와 같이 구성되며, 단순히 건물 내 공간뿐만
아니라, 건물이 위치한 땅에 대한 지분까지 포함되기도 합니다. 오피스텔 또는 일부 상가에서는
이 면적이 계약서에 기재되는 경우가 많으며, 관리비 계산 또는 세금 부과 기준에도 영향을 줍니다.

계약면적=전용면적+주거공용면적+기타 공용면적+대지지분 면적

예를 들어, 전용면적 59.99㎡+주거공용면적 25.13㎡+기타 공용면적 15.00㎡=계약면적 약 100㎡

 

공급면적과 계약면적 차이점

공급면적과 계약면적 적용

1. 분양 시, 가격 비교

공급면적 기준으로 가격이 표시되기 때문에, 실질적인 가격 비교를 하려면, 전용면적 대비
공급면적 비율(전용률)을 따져야 하며, 전용률이 높을수록 실사용 공간이 넓다는 의미입니다.

전용률=(전용면적/공급면적)×100

예를 들어, 甲 아파트는 공급면적 84㎡, 전용면적 59㎡으로, 전용률 70%이며,
乙 아파트는 공급면적 84㎡, 전용면적 62㎡으로, 전용률 73.8%이면, 乙 아파트가 더 효율적입니다.

2. 관리비 부과 기준

아파트는 대부분 전용면적 기준으로 부과되며, 오피스텔은 계약면적 또는 공급면적 기준으로 부과

예를 들어, 같은 84㎡라도 오피스텔이라면, 계약면적 기준으로 관리비 부과되므로 비용 부담 가중

3. 임대차 계약 시 주의사항

임차인이 생각하는 실사용 공간과 실제 면적이 다를 수 있으므로, 계약 전 전용면적과 공급면적이
얼마인지 명확히 확인해야 하며, 일부 오피스텔은 공급면적만 표기, 실제 내부는 좁은 경우가 많습니다.

공급면적과 계약면적 유의할 점

1. 공급면적은 실제 거주 공간이 아닙니다. 광고에 34평이라고 해도, 실제 공간은 24~26평 수준입니다.

2. 계약면적은 관리비와 세금에 영향을 줍니다.(특히, 오피스텔의 경우)

3. 어떤 곳은 전용면적, 어떤 곳은 공급면적으로 표기, 반드시 단위와 기준 확인을 해야 합니다..

4. 공시가격에 따른 재산세 또는 종합부동산세 부과에도 계약면적이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계약 전, 반드시 전용면적, 공급면적, 계약면적의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고, 확인해야 하며,
분양 또는 매매 시, 전용률을 기준으로 실사용 효율성을 비교하는 것이 더 합리적입니다.
오피스텔 또는 상가는 관리비 부과 기준이 계약면적이므로, 표기된 면적만 보고 판단하지 말고,
실측 요구 또는 도면을 통해 정확한 구조와 면적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